반응형

웹3 및 NFT에서 자주 사용되는 용어 정리

중앙화 거래소(CEX)와 탈중앙화 거래소(DEX)

CEX (Centralized Exchange)

  • 대표 예시: 바이낸스, 업비트
  • 특징: 오더북 기반으로 거래를 처리하며, 장부 정리를 한꺼번에 수행합니다.

DEX (Decentralized Exchange)

  • 대표 예시: 유니스왑, 쥬피터
  • 특징: 스마트 컨트랙트를 활용하여 거래를 처리하며, 자산 보호를 제공하지 않음. 탈중앙화 특성상 보안에 주의가 필요합니다.

Contract Address (CA)

  • 토큰 주소를 의미하며, 특정 토큰의 고유 식별자 역할을 합니다.

상장 관련 용어

TGE (Token Generate Event)

  • 토큰이 발행되는 시점을 의미합니다.

Vesting

  • 토큰의 잠금 기간을 의미하며, 예를 들어 "TGE 60%, 1년 vesting 40%"는 상장 당시 60% 지급 후, 나머지 40%는 1년에 걸쳐 지급됨을 뜻합니다.

에어드랍 관련 용어

Airdrop

  • 특정 요건을 충족한 사용자에게 무료로 신규 코인을 배포하는 행위입니다.

WhiteList (WL)

  • 프로젝트에서 제공하는 우선 청약권을 의미합니다.

Snapshot

  •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조건에 맞는 사용자를 분리하는 행위를 뜻합니다.

Reveal

  • 선판매된 NFT를 고유 특성을 가진 NFT로 변환시키는 작업입니다.

토큰 관련 용어

SWAP

  • DEX에서 토큰 간 교환을 의미합니다.

MCAP (Market Capitalization)

  • 유통 중인 토큰의 시가총액입니다.

TVL (Total Value Locked)

  • 담보 또는 유동성 풀에 잠겨 있는 금액입니다.

FDV (Fully Diluted Valuation)

  • 전체 발행 가능한 토큰의 총 가치입니다.

런치패드, 런치풀, APR

런치패드

  • 신규 코인을 판매하는 방법으로, 공모주 청약과 유사한 방식입니다.

런치풀

  • 예치된 코인에 대해 상장 예정 코인을 이자로 받는 개념입니다.
  • 스테이킹: 기간이 끝날 때까지 인출 불가능.
  • 런치풀: 언제든 인출 가능.

APR (Annual Percentage Rate)

  • 연간 이자율을 의미합니다.

NFT 관련 용어

PFP

  • 프로필 사진(Profile Picture)으로 활용되는 NFT입니다.

Minting

  • NFT를 발행하는 과정을 뜻합니다.

브리딩 (Breeding)

  • NFT 프로젝트에서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행위로, 펏지 펭귄 → 릴 펏지와 같은 사례가 있습니다.

FP (Floor Price)

  • NFT의 최저가를 의미합니다.

플랫폼별 지갑

  1. 이더리움
    • 메타마스크, 래빗월렛
  2. 솔라나
    • 팬텀, 백팩
  3. 비트코인
    • 엑스버스, 유니삿

블록체인 및 거래 관련 필수 용어

MEV (Maximal Extractable Value)

  • 블록체인 거래에서 선순위 요청을 밀어내고 차익을 얻는 행위로, 일종의 새치기입니다.

슬리피지 (Slippage)

  • 주문 가격과 실제 거래 가격의 차이로, 유동성이 낮은 코인에서 자주 발생합니다.

Mintable

  • 무한 발행이 가능한 코인으로, 추가 발행 가능 여부를 항상 확인해야 합니다.

Conviction

  • 특정 코인에 강한 확신을 가지고 대량 매수하는 행위입니다.

Top Blast

  • 가격이 가장 높은 시점에서 매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.

Freeze / 허니팟

  • 매도가 불가능하게 만들어 피해를 입히는 스캠 방식입니다.
반응형

+ Recent posts